Русские видео

Сейчас в тренде

Иностранные видео


Скачать с ютуб KBS 인물현대사 – 누가 권력의 심장을 쏘았나, 특무대장 김창룡 / KBS 20041203 방송 в хорошем качестве

KBS 인물현대사 – 누가 권력의 심장을 쏘았나, 특무대장 김창룡 / KBS 20041203 방송 1 год назад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savevideohd.ru



KBS 인물현대사 – 누가 권력의 심장을 쏘았나, 특무대장 김창룡 / KBS 20041203 방송

♦︎ 한 정치적 인물의 암살 사건에는 그 피살자가 어떤 인물인가, 그리고 그 시대는 어떠했는지가 고스란히 담기게 된다. 김창룡 前특무대장 암살사건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김창룡은 1950년대 ‘대통령의 오른팔’로 불릴 정도로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르던 인물이다. 이승만 대통령은 백범 김구가 암살됐을 때는 열흘이 지나서야 ‘마지 못해 문상’을 왔지만, 김창룡이 암살되자 ‘잠옷 바람’으로 달려와 “그는 나를 대신해 죽었다”고 말할 정도로 총애했다고 전해진다. 인물현대사에서는 김창룡 前특무대장의 암살 사건을 통해 1950년대의 한 단면을 살펴보고, 김창룡이라는 인물이 가지는 시대적 의미를 찾아본다. ◼︎ 수사 과정의 미스터리 사건 한 달 만에 잡힌 암살범은 놀랍게도 김창룡의 옛 부하였던 허태영 대령이었다. 그런데, 수사 초기에 군부 고위층에서 암살 진범을 보호한 채 수사 방향을 엉뚱한 곳으로 돌리려는 시도가 몇 번 있었음이 드러났다. 처음엔 원용덕 총사령관이 용의자로 몰렸고 나중엔 공산주의자의 소행으로 대통령에게 보고되기도 했다. 그 비호세력이 육군참모총장과 정권의 2인자였던 이기붕까지 연결돼 있다는 소문이 무성하기도 했었다. 누가 왜 암살범을 비호하려했나? ◼︎ 왜 암살되었나? 왜 부하가 상관을 쏘게 됐을까? 피살 동기에 대해 군검찰은 개인적 차원의 보복으로 몰고 가려 했다. 하지만, 피고 허태영 대령은 ‘군의 민주화’라는 대의명분으로 그를 죽일 수밖에 없었다고 진술했다. 김창룡은 이승만 대통령의 절대적 신임을 바탕으로 공공연히 월권행위를 함으로써 군 지휘 계통을 문란케 했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당시 군부 내에 부정 부패가 만연해 있었고 김창룡은 특무대장으로써 깊숙한 수사를 하고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 용공 공작의 원조 김창룡은 반공 분야에서의 수많은 공적을 쌓았고, 여러 건의 대통령 암살 및 쿠테타 음모사건 해결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그 중의 많은 사건들이 조작 내지는 침소봉대된 것으로 그의 사후에 드러났다. 암살 사건 재판에서 피고 허태영은 특무부대 상관이었던 김창룡 부대장이 조작한 사건들을 낱낱이 증언했다. ◼︎ ‘친일 컴플렉스’가 ‘반공 노이로제’로? 김창룡 자신이 남긴 기록에 따르면, 그는 젊은 시절 만주에서 관동군 헌병 오장으로서 중국 항일 공산당 조직을 적발하는 데 탁월한 역량을 발휘했다. 하지만, 해방 후 북한에서 전범으로 2번에 걸쳐 사형 선고를 받게 된다. 다행히 그는 두 번 다 탈출에 성공, 월남한다. 월남한 김창룡에게 당시 남한은 구세주나 마찬가지였다. 당시 남한에서는 반공이라면 친일 경력도 용인되는 상황이었다. ◼︎ 죽어서도 안식을 취할 수 없는 운명 김창룡은 특무대(기무사의 전신) 대장(소장)으로서 숙군의 주역이었고, 1950년 전후의 굵직굵직한 용공, 간첩 관련 사건들을 해결한 이른바 ‘타공(打共) 전선의 1인자’로서 수많은 훈장을 자랑하고 있었다. 또한 외견상 자신의 임무를 충실히 이행하다가 암살된 당한 순직자여서 법적으로 하자 없이 국립묘지에 안장됐다. 인물현대사 61회 – 누가 권력의 심장을 쏘았나, 특무대장 김창룡 (2004.12.3.방송) http://history.kbs.co.kr/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