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усские видео

Сейчас в тренде

Иностранные видео


Скачать с ютуб [달신을 숭배하는 마음]_주원준박사의 구약성경과 신들_7회 в хорошем качестве

[달신을 숭배하는 마음]_주원준박사의 구약성경과 신들_7회 3 года назад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savevideohd.ru



[달신을 숭배하는 마음]_주원준박사의 구약성경과 신들_7회

1. 달신 동양이나 서양이나 옛사람들은 일월성신日月星辰을 숭배했다. 일월성신은 해, 달, 별이다. 여기에 깃든 영험한 기운이 인간의 삶에 큰 영향을 끼친다고 믿었다. 고대 근동 사람들도 마찬가지다.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는 특히 ‘달’月을 섬겼는데, 그들의 왕권 신학과 밀접히 관련되었다. 히브리인들은 이웃 나라의 언어와 종교 등에 친숙했지만 달신 숭배와 무척 깊게 관련되었다. 때로 달신 숭배에 무척 적대적이어서, 달은 철저하게 탈신화되었다. 하지만 달신月神 숭배와 관련된 고대 근동의 문화적 흔적은 구약성경 곳곳에 매우 진하게 남아 있다. 2. 수메르의 달신 '난나' 고대 메소포타미아는 달신 숭배의 대표적 고장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인류의 종교 가운데 태양신이 아니라, 달신이 왕권을 상징한 유일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달은 왕권 신학의 핵심 상징으로서 종교와 정치에 막대한 영향력을 발휘했다. 흥미로운 점은 달신의 상징이다. 나보니두스 비문 등 여러곳에서 달신은 초승달로 묘사된다. 달신이 초승달로 묘사되는 것 부터 우리의 정서와 퍽 다른 점이다. 우리는 보름달을 좋아하는 민족이다. 꽉 찬 보름달은 마음에 떠올리기만 해도 참 넉넉하고 기분이 좋다. 그러나 이 중동인들은 정반대의 생각을 갖고 있다. 보름달은 이미 꽉 찼으니 내려가는 일만 남았다고 생각한다. 오히려 초승달은 이제부터 찰 것이니 앞으로 더 차오를 것이라고, 곧 희망적으로 생각한다. 그래서 달신은 초승달로 묘사한다. 이런 정서상의 차이가 구약성경에 스며들어 있다. 참고로, 이런 정서는 한 문화권에서 계속해서 전승되는 것이다. 현대 이슬람에서 초승달을 중요한 상징으로 쓰는 것도 마찬가지다. 달신의 수메르어 이름은 '난나'Nanna다. 아누에 이어 최고신에 오른 닙푸르의 주신主神 엔릴의 아들이 바로 난나다. 난나는 최고신은 아니다 하지만 최고신의 피가 흐른다. 3. 아카드의 달신 '신' 지난 시간에 수메 수메르 시대가 저물고 아카드인들이 메소포타미아 지역을 장악하여 언어와 문화가 사뭇 달라짐을 보았다. 메소포타미아를 장악한 아카드인들은 난나를 '수엔'Suen이라 일컬었는데, 시대가 지남에 따라 모음이 변하여 아카드어로 달신의 이름은 '신'Sin이 되었다. 달신은 중요한 신이어서 별칭도 다양했다. 수메르 시대에 난나는 우르의 주신이었다. 신바빌론 시대에 접어들어 달신 '신'은 하란의 주신으로 유명해졌다. 달신 숭배의 근원지가 우르와 하란이라는 점은 매우 중요하다. 이 두 도시는 구약성경에도 중요하기 때문이다. 동양의 음양설에서 해와 달은 양과 음을 상징한다. 그래서 해는 달보다 세고 크며 우월하다고 여긴다. 하지만 수메르는 정반대다. 달신 '난나'는 태양신 '우투'의 아버지다. 분명히 달신이 태양신보다 우월한 존재다. 달은 왕권의 상징이었다. 고대 메소포타미아인들은 달은 '별들의 군대'를 거느리고 인간의 운명에 관한 신탁을 내리며, 정의를 판결하는 역할을 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달신의 신학은 자연스레 왕권 신학과 연결된다. 달신은 태양신과 별신과 함께 '천체의 삼신론'을 이룬다. 물론 달신이 중심이다. 달은 차고 기우는 변화가 무척 규칙적이다. 그래서 출산, 성장, 노화, 죽음이라는 인생의 단계에 대입시키기가 쉬웠다. 이를테면 초승달은 달의 탄생, 계속해서 보름까지 차오르는 것은 성장, 보름달 이후 저무는 것은 노화, 마지막으로 그믐달은 죽음. 이렇게 대입할 수 있었다. 또한 28일마다 정확히 차고 기우는 것도 달의 규칙성을 증진시켜 주었다. 그래서 달은 때를 알려 주는 역할도 맡았다. 유목민들은 달을 보고 이동할 날짜를 결정했다. 그리고 가축의 교미 시기 등도 달을 기준으로 결정했다. 이렇게 달과 관련된 문화는 생활 깊숙히 자리잡았다. 또한 달신은 풍요와도 관련되어 대중에게도 인기가 높았다. 달신 숭배에서 초하루는 무척 중요했다. 초하루가 되면 달은 부활한다. 밤하늘에 손톱만큼 달이 보이기 시작하는 매달 초하루는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종교에서 매우 중요한 종교적 절기다. 구약성경에서도 보름달보다는 초하루가 훨씬 중요하다. 그 이유는 바로 이런 고대근동의 풍습을 공유하기 때문이다. 이런 차이를 알고 구약성경을 읽어야 한다. 달신의 다양한 역할 가운데 '정의의 수호자'는 일찍이 태양신으로 넘어갔다. 고바빌론 제국의 함무라비 임금은 법전을 태양신에게서 받았다. 그런데 태양신의 위치는 달신에 비해 불안한 듯이 보인다. 수메르의 태양신 우투는 남신이지만, 셈족의 태양신 '샤마쉬'는 본래 여신이다. 우가릿 신화에서도 태양신 '샵슈'는 여신이다. 그런데 달신 난나와 신이 합쳐졌듯, 우투와 샤마쉬도 융합되어 훗날 하나의 신으로 이해된다. 놀랍게도 이 과정에서 샤마쉬는 남신이 되어 버렸다. 태양신의 성전환이 일어난 것이다. 이런 역사적 변천 과정은 태양신이 훨씬 약하고 달신이 원래 강했음을 드러낸다. 태양신의 성전환은 구약성경에도 그 흔적을 남겼다. 성경 히브리어에서 태양을 뜻하는 '셰메쉬'는 남성명사도 되고 이따금 여성명사도 된다. 그 역사적 이유를 이런 배경에서 찾기도 한다. #주원준박사 #구약성경 #구약성경과신들 #가톨릭평화방송 #cpbc ========================================= 방송선교ARS후원 : 060-706-1004 (한 통화 5,000원) 060-706-4004 (한 통화 10,000원) 후원문의 : 1588-2597 http://www.cpbc.co.kr/home/support/su... 매일미사 지향 신청 : 02-2270-2640, 02-2270-2650 카카오톡 플러스친구 : cpbc TV ========================================= cpbc TV 유튜브 채널을 구독하세요. 가톨릭콘텐츠의 모든 것! cpbcTV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