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усские видео

Сейчас в тренде

Иностранные видео


Скачать с ютуб [다큐3일📸] 전국에 단 46곳! 겨울나기가 어려운 이웃이 있기에 연탄 생산은 계속 된다. 충북 제천 연탄공장 72시간 | KBS 2014.02.09 방송 в хорошем качестве

[다큐3일📸] 전국에 단 46곳! 겨울나기가 어려운 이웃이 있기에 연탄 생산은 계속 된다. 충북 제천 연탄공장 72시간 | KBS 2014.02.09 방송 6 месяцев назад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savevideohd.ru



[다큐3일📸] 전국에 단 46곳! 겨울나기가 어려운 이웃이 있기에 연탄 생산은 계속 된다. 충북 제천 연탄공장 72시간 | KBS 2014.02.09 방송

■ 황혼의 연탄산업, 그 끄트머리에 선 제천 서민들의 겨울나기 충북 제천에 있는 어느 연탄 공장. 제천에서 연탄을 쓰는 사람들치고 이 공장을 모르는 이들은 없다. 그도 그럴 것이, 몇 번의 부침과 폐업 위기에도 무려 40년 세월을 제천의 ‘연탄 서민’들 덕에 버텨왔기 때문. 가스와 석유의 편리함에 밀려난 지 오래, 아직도 연탄을 쓰는 이들이 있을까 싶지만은 지금도 제천의 외진 농가나 가정집에선 겨울 난방을 연탄으로 때는 이들이 많다. 한 장에 단 돈 450원, 하루 2,000원이면 없는 형편에도 따뜻한 겨울을 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다보니 연탄 공장 사람들만큼 ‘없는 사람들의 겨울’을 이해하는 이들도 많지 않은데... 전성기 시절, 400여개를 웃돌던 연탄 공장은 현재 전국을 통틀어 46곳밖에 남지 않았다. 이제는 내리막길을 걷고 있지만, 아직도 그 현장엔 연탄 한 장에 울고 웃는 ‘연탄 서민’들의 세상 이야기가 남아 있다. 충북 제천에서 만난 마지막 겨울 이야기다. ■ 연탄 한 장이 세상을 지피기까지... 22공탄을 주로 하는 수도권과는 달리 제천 연탄 공장의 연탄구멍은 25개. 연탄은 구멍이 많을 수록 화력이 좋고 고르게 타기 때문이다. 대신, 그만큼 밀도 있는 압축 작업이 필요하다. 연탄은 높이 14.2cm, 무게 3.6kg이라는 생산 규격이 정해져 있기 때문이다. 이 가운데 가장 골치 아픈 작업은 바로 발열량 맞추기. 연탄 한 장이 난방용 땔감으로 쓰이기 위해선 최소 4,600 칼로리가 필요한데, 점점 고갈되어가는 국내의 무연탄만으론 이만큼의 열량을 맞추기가 어렵다. 때문에 수입 무연탄을 섞어 간신히 열량을 유지하고 있는 형편이다. 우리나라의 연탄 산업은 이렇듯 황혼을 향해 저물고 있다. ■ 검은 손, 검은 얼굴, 검은 땀방울 이른 아침, 해도 뜨지 않은 시각 공장의 문을 여는 사람들. 밤새 꽁꽁 얼어버린 공장의 기계를 불로 녹이고, 추운 날씨에 기계가 또 고장나지 않을까 걱정하며 기계를 살피는 직원들의 평균 연령은 60대. 용접부터 고장난 기계 고치기, 중장비를 운전하는 일까지.. 연탄을 만드는 과정에서 이 사람들의 손을 거치지 않는 일은 없다. 험하고 고된 일이기에 젊은 사람들은 기피하는 일.. 하지만 이들은 연탄공장을 떠나지 않았다. 검은 얼굴과 검은 손으로 검은 땀방울을 흘리는 사람들. 검은 연탄이 하얀 재로 변하며 사람들을 따스하게 하듯, 연탄의 삶과 이들의 삶은 닮아 있다. ■ 온기를 전달하는 사람들 연탄 수요가 많은 시기는 겨울뿐이기 때문에, 한 장이라도 더 배달하기 위해 꼭두새벽같이 나와서 종일 연탄을 배달한다. 빠른 배달을 위해 한 사람당 남자는 8장을 들어 28kg, 여자는 4장, 14kg를 한 번에 든다. 젊은 사람도 무거워 쉽게 들 수 없는 무게.. 거뜬하게 들어 온몸이 까맣게 변하도록 수십 번, 수백 번 들락날락한다. 일은 고되고 힘들지만 부지런히 움직인다면 땀 흘린 만큼 보수를 얻을 수 있기에 보람되다. ■ 연탄 한 장이 지펴준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 제천의 연탄 사용자들은 대부분 비싼 기름보일러를 쓸 수 없는 서민층. 이들에게 조금이라도 싼 값으로 겨울을 날 수 있도록 해주는 연탄은 보물이다. 한 장에 400원 정도 하는 연탄이지만, 이 연탄 한 장이 비싸 마음 놓고 쓸 수 없다. 연탄 한 장이 늘 절실한 사람들. 우리가 잊고 지낸 연탄을 기억하는 서민들의 삶의 이야기. 다큐멘터리 3일 [세상을 지피다 - 제천 연탄공장 72시간] 20140209 #연탄 #공장 #다큐3일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