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усские видео

Сейчас в тренде

Иностранные видео


Скачать с ютуб 행복 순위 최하위권 한국. 행복이 숙제가 되고 있다 │서울대학교 최인철 교수의 인문학특강 в хорошем качестве

행복 순위 최하위권 한국. 행복이 숙제가 되고 있다 │서울대학교 최인철 교수의 인문학특강 2 месяца назад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savevideohd.ru



행복 순위 최하위권 한국. 행복이 숙제가 되고 있다 │서울대학교 최인철 교수의 인문학특강

우리는 얼마나 행복한가?   올해 OECD가 발표한 한국인의 행복 순위는 OECD 34개 회원국 가운데 27위로 10년 째 최하위권에 머무르고 있다. 한국전쟁 이후, 국가는 산업화를 향해 숨 가쁘게 달려오느라 국민의 행복을 도외시해왔던 게 우리의 현실이다. 하지만 눈부신 경제 성장의 뒤편에는 노인부터 청소년까지 ‘어느 세대도 행복하지 않다’는 것을 깨닫기 시작한 지금, ‘행복한 개인, 행복한 국가’를 향한 고민과 행복하고 싶은 열망의 목소리는 높아지고 있다   행복해지려면 먼저 스스로에게 질문해야 한다고 말하는 서울대 심리학과 최인철 교수. 과연, 행복은 우리 삶의 최고 가치인가? 행복은 노력하면 얻을 수 있는 것인가? 그동안 궁금했지만 한 번도 스스로에게 묻지 않았던 행복에 관한 질문을 던지며 심리학자의 시선으로 행복의 실체를 확인한다.   흔히들 행복은 나의 ‘마음가짐’에 달렸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연구 결과에 따르면 행복은 ‘공간’에 영향을 받는다. 미국 하버드대학의 심리학자 엘렌 랭거의 실험이 이를 증명하는데, 노인들을 젊은 시절을 연상시키는 공간에서 공동생활을 시킨 후, 건강체크를 했더니 더 젊어지는 실험결과가 나왔다. 이처럼 향유하는 공간이 많을수록, 예를 들면 엄마, 교사, 골퍼, 독서 모임 회원 등 자기정체성이 다양할수록, 이는 곧 ‘행복하기 쉬운 구조’와 직결된다. 이처럼 행복의 요소를 살펴보면 행복이 가깝고 구체적으로 보이기 시작한다. #EBS #EBS지식 #인문 #행복 #최인철 #서울대 #인문학 #인문학특강 #심리학 📺방송정보 📌프로그램명: 인문학특강 - 나의 삶, 나의 행복 1강 📌방송일자: 2015년 12월 29일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