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усские видео

Сейчас в тренде

Иностранные видео


Скачать с ютуб [다큐온] 한반도를 넘어 인류의 문화 자산. 백제의 어떤 면이 세계인을 사로잡았을까? "세계유산, 백제 2부 - 화려하나 사치스럽지 않다" (KBS 20211022 방송) в хорошем качестве

[다큐온] 한반도를 넘어 인류의 문화 자산. 백제의 어떤 면이 세계인을 사로잡았을까? "세계유산, 백제 2부 - 화려하나 사치스럽지 않다" (KBS 20211022 방송) 2 года назад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savevideohd.ru



[다큐온] 한반도를 넘어 인류의 문화 자산. 백제의 어떤 면이 세계인을 사로잡았을까? "세계유산, 백제 2부 - 화려하나 사치스럽지 않다" (KBS 20211022 방송)

다큐ON (토요일 밤 11시 40분 KBS 1TV) “세계유산, 백제 2부 - 화려하나 사치스럽지 않다” (2021년 10월 23일 방송) “백제는 동아시아를 아우르는 문화적 허브 역할을 하던 핵심 국가” 지난 2015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백제역사유적지구, 이로써 백제 역사는 한반도를 넘어 인류의 문화 자산이 되었다. 대체 백제의 어떤 면이 세계인을 사로잡았을까? 백제 문화의 가치와 동아시아 교류사 속의 위상을 짚어본다. ▶ 동아시아 국가 교류 중심국 백제의 위상, 무령왕릉 지난 7월, 공주에서는 뜻깊은 행사가 열렸다. 무령왕릉 발굴 50주년 기념식이었다. 공주 송산리고분군의 7기의 무덤 중 유일하게 무덤의 주인이 알려진 무령왕릉. 1971년 6호분 배수로 공사 도중 단 한 번도 도굴되지 않은 상태로 발견되어 고고학계를 뒤흔들었다. 무령왕릉은 백제의 무덤 양식이 대부분 돌로 만든 석실무덤인 데 반해 벽돌 무덤 양식. 이는 당시 중국 남조에서 성행하던 무덤 양식으로, 백제가 중국과의 교류 속에서 새로운 문물을 과감하게 도입했던 결과물이자 문화적 자신감의 발로였다. 무령왕릉에서는 모두 108종 4600여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는데, 출토된 유물들 역시 백제의 교류사를 말해주고 있다. 동탁은잔은 중국 난징에서 출토된 잔과 흡사하며, 일본에서도 역시 동탁은잔과 같은 모양의 제품이 출토되었다. 또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동남 아시아산 유리 제품은 동서 교역의 중심지였던 푸난(캄보디아)과의 직간접적인 교역의 증거가 되고 있다. 또한 무령왕릉에서 왕과 왕비를 모셨던 목관의 목재 금송은 일본에서만 자생하는 고급 목재로 알려져 있다. 이는 백제 왕이 사망했을 때 일본 최고의 관재인 금송을 지속적으로 보내줬음을 보여주고 있다. ▶ 백제의 운명을 품은 가장 핵심적인 사찰, 정림사지 538년 성왕 때 사비로 천도한 백제. 성왕은 부여의 한가운데 정림사를 건립했다. 이 사찰은 백제의 전형적인 1탑 1금당의 구조였다. 정림사지의 가운데 우뚝 솟아있는 5층석탑은 기존의 목탑을 단순화시킨 모양새로 균형 있고 단아한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정림사지에 처음 구현되었던 1탑 1금당의 가람배치는 이후 백제 전역에 확장되었고, 이는 신라와 일본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 백제사 연구의 일대 전기를 이룬 발견, 미륵사지 석탑 사리장엄구 2009년, 미륵사지 서탑 해체 작업을 하던 중 서탑 심주석에서 미륵사의 비밀을 풀어줄 놀라운 유물이 발견되었다. 심주석 안에는 부처님의 사리를 담았던 그릇인 사리호와 미륵사 탄생의 기원이 기록된 금제사리봉영기를 포함한 사리장엄구가 오롯이 담겨있었다. 금제사리봉영기에는 무왕의 왕비인 사택적덕의 딸이 639년 사리를 모시고 절을 세웠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로써 미륵사지의 정확한 탄생 배경이 밝혀졌으며, 이때 나온 유물들로 인해 백제사 연구에 있어 기준을 만들 수 있게 됐다. ▶ 백제 궁궐의 진수, 왕궁리 유적 7세기 무렵 고구려, 신라와 계속해서 영토 다툼을 벌이던 백제. 무왕은 새로운 왕궁을 익산에 건설하기 시작했다. 남북 490미터, 동서 240미터에 이르는 궁궐 담장 안에는 정사를 돌보는 정전과 부속 건물, 정원, 후원이 있었다. 또 관리나 궁인들이 사용하던 대형 화장실과, 왕실에서 사용하는 귀금속을 만들던 공방도 있었다. 왕궁리 유적은 7세기 백제가 가지고 있는 최고의 기술이 구사된 왕궁의 흔적을 고스란히 보여주고 있다. #세계문화유산 #백제역사유적지구 #백제 ※ [다큐ON] 인기 영상 보기 코시국★에 세계 최대 크기 선박 12척 모두 만선 기록한 대한민국 클라스!   • [다큐온] 코시국★에 세계 최대 크기 선박 12척 모두 만선 기록한...   한진해운 파산이 가져온 한국 해운업의 몰락과 냉혹한 현실   • [다큐온] 한진해운 파산이 가져온 한국 해운업의 몰락과 냉혹한 현실...   조선업 위기를 풍력 에너지 발전의 기회로 삼은 대한민국의 ★POWER★   • [다큐온] 조선업 위기를 풍력 에너지 발전의 기회로 삼은 대한민국의...   녹조류와 땅이 주는 선물, 신재생에너지 건물   • [다큐온] 녹조류와 땅이 주는 선물, 신재생에너지 건물 | “다시 ...   K-수소에너지 산업이 이끄는 세계 에너지의 미래   • [다큐온] K-수소에너지 산업이 이끄는 세계 에너지의 미래 | “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