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усские видео

Сейчас в тренде

Иностранные видео


Скачать с ютуб [3분 인문학] 서양철학과 동양철학의 차이 в хорошем качестве

[3분 인문학] 서양철학과 동양철학의 차이 2 года назад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savevideohd.ru



[3분 인문학] 서양철학과 동양철학의 차이

- 홍익학당 네이버 카페 http://cafe.naver.com/bohd - (160110 일요 대담) 서양철학과 동양철학의 차이 이 쉘링 같은 사람은 데카르트가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그런데 이거는 벌써 2차적이라는 거예요. 왜냐? 쉘링이 생각하는 철학의 제 1명제는 "나는 존재한다!"라는 거예요. 선험적 자아를 말하는 겁니다. "'내가 있다!'에서 온 우주가 나왔다!"라는 거예요. 재밌죠? 자, 여기까지만 할게요. 딱 좋죠? 여기서 딱 끝내야 좋지 더 가면 재미(없죠). 자! 이 정도. 서양 철학자들과 왠지 친해진 것 같지 않으세요? 아는 사이 같고. 그래서 생각이 공유되고 있단 말이에요. 별생각 아니에요. 단, 동양은 그걸 체험하는 걸 중시한다면 서양은 그 체험에서 그 결론을 뽑아내서 개념화 시키는 걸 되게 중시합니다. 그래서 철학 책을 읽으면 느낌이 전혀 다르기 때문에 저도 읽으려면 각오를 하고 읽어요. 인도는 중간적이에요. 인도도 정말 논리적이고 복잡해요. 그런데 동양은 아주 더 시(詩)적이죠. 체험을 딱 건드려서. 동양식 논리는요, 여러분을 자극해서 여러분 마음 안에서 그 상(像)이 떠오르게 하는 걸 중시해요. 서양철학식은 그게 아니라 누가 봐도, 객관적으로 봐도 인정할 수밖에 없게 이론을 전개하는 걸 중시해요. 동양은 안 그래요. "지극한 도는 어렵지 않으니 오직 간택만 떠나라!" 그럼, 뭔가 설명이 다 안된 게 많잖아요? 그런데 그 말대로 하면 느껴지는 거예요, 그게 뭔지. 이걸 중시합니다. 즉, 듣는 상대하고 지금 변증법을 또 하고 있는 거예요. 상대방과 내가 음양이 서로 충돌해서 답이 도출되게, 그 듣는 사람 마음 내면에 답이 도출되게 하는 그 논리를 써요. 그래서 처음 서양철학 하시는 분이 동양 경전을 보고 "이 사람들은 논리가 없는 것 같다."라고 했어요. 조금 들여다보니까 고급 논리가 있는 거예요. 말을 듣다 보면 내 마음에서 그림이 계속 그려지는, 정확한, 오히려 정확한 그림이 그려지는, 그 극치가 선(禪)문답 입니다. "부처가 뭐냐?" "똥 막대기!" 완전히 말도 안 되고 논리도 없죠. 그런데 듣는 사람이 깨달아요. 아무리 논리정연한 철학 책을 봐도 못 깨달은 사람이 이 말에서 도(道)를 느껴 버릴 수가 있습니다. 이런 논리라는 거예요. 상대방 마음하고 같이 지금 살아 움직이면서, 상대방을 자극해서 상대방이 이쪽으로 튀면서 '이걸 느낄 수밖에 없을 것이다!'하고 더 멀리 생각하고 논리를 구사하는, 그 논리가 있어요. 그래서 그런 차이는 있지만 서양철학은 대신 아주 평면적이죠. 동양철학의 논리가 입체적이라면 평면적으로 완벽한 그림을 그리는 걸 중시해요. 그런데 그런 시도가 먹혔으면 여러분 다 철학자 됐겠죠? 서양철학이 지금 전 세계를 지배했고, 그 철학이 모든 사람들한테 진리를 다 보여 줬겠죠? 왜 안됐을까요? 애초에 그 시도는 불가능해요. 참나를 말로 다 설명할 수는 없어요. 참나는 영원불멸하고, 상락아정(常樂我淨)이요, 에고는 무상·고·무아(無常·苦·無我)요, 만변(萬變) 하는 존재다. 제가 써놓고 감탄해요. "완벽하게 설명했다!" 여러분은 읽고 아무 감응 없습니다. "믿으라는 거야! 뭐, 어쩌라는 거야!" "이거를 어쩌라는 거야!" 왜 그러냐면? 철학은 근원적으로 신의 세계를 다룹니다. 이성의 근원의 세계, 우주의 신적인 요소. 아리스토텔레스나 플라톤 때부터 다 신의 영역을 탐구했다고요. 우주에 있는 근원적인 질서, 신의 질서를 연구한 거예요. 주역도 그랬고, 동양의 성리학 다 그랬어요. 그런데 그 세계는 근본적으로 경험 가능한 세계가 아니에요. 경험 가능하지 않는 얘기를 아무리 논리적으로 한들, 그게 상대방한테 감응을 주기는 되게 힘들어요. 그래서 동양은 애초에 그런 부분보다는 상대방 마음을 움직여서, 그걸 느끼게 만드는 데 되게 집중한 거예요. 그러니까 지금 우리 입장에서는 하나 버리자는 것이 아니라 둘 다 특성을 알고 잘 활용하면 그만이라는 거예요. - 홍익학당 페이스북   / hongikhdpg   - 윤홍식 대표 페이스북   / hongsiky   - 홍익학당 공식홈페이지 http://www.hihd.co.kr - 홍익학당 후원안내 https://cafe.naver.com/bohd/64598 - 홍익학당 후원계좌 국민은행 879601-01-245696 (흥여회) - 문의 : 02-322-2537 / [email protected] 본 동영상은 흥여회 후원으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에게 알릴 수 있게 도와주신 '흥여회원'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Comments